안녕하세요. 재테크 요정 지하니입니다. 오늘은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에 대해 알아볼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으니 바로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은 같은 듯하지만 미묘하게 다르다는 점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연금보험에 가입한 다음 "왜 연말정산에 반영이 안 되나요?"라고 할 수도 있고 연금저축보험을 가지고 있는데 "왜 연금소득세를 내야 하나요?"라고 물을 수도 있습니다. 두 상품을 주의하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으니 이번 기회를 통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연금보험 - 낼 때는 납세 의무, 받을 때는 세금 혜택
연금보험은 순수하게 민영보험회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입니다. 즉 나라에서 '세금 혜택도 드릴 테니 많이 이용해주세요' 하는 상품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연금보험은 납입하는 기간 동안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나중에 연금을 받을 때 연금소득세가 면제됩니다. 대략 3.3~5.5%까지 연령과 연금 형태에 따라 세금이 붙게 되는데 연금보험은 나중에 이금액을 받을 때 세금이 면제됩니다.
연금보험 세율
연금저축보험 - 낼 때는 세금 혜택, 받을 때는 납세 의무
연금저축보험은 반대입니다. 납입할 때에는 연말정산에서 세금 혜택을 받습니다. 소득 구간에 따라 혜택 금액이 달라지는데 최대 66만원이라 보면 됩니다.
연금저축보험 세액공제 혜택
여기까지는 연금저축보험의 장점입니다. 나의 노후를 위한 연금 상품인데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니 감사할 따름이죠. 이제부터는 단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나중에 연금을 받을 때에는 납세 의무가 발생합니다(대략 3.3~5.5%) 여기에 국민연금 등 다른 연금까지 합쳐서 연간 1,200만원(한 달에 100만원)을 넘으면 종합소득세를 따로 납부해야 합니다(종합소득세는 6.6~44%)
연금보험 vs 연금저축보험, 나에게 맞는 상품은?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하면 좋을지 고민될 수밖에 없습니다. 간단한 기준을 제시해보자면 '나의 노후는 연금에 많이 의지할 것 같다'라는 경우에는 지금 당장 세금 혜택을 얻지 못하더라도 연금보험이 낫습니다. 나중에 핵심 소득이 연금이 될 텐데, 그때 세금을 내야 한다면 더욱 아까울 것이기 때문이죠.
이와 반대로 '난 계속 일을 할 것이기 때문에 연금은 별 필요 없을 것 같다'라고 생각된다면 연금저축보험이 낫습니다. 지금의 소득에서 세금을 절약하고 나중에 세금을 내도 무방할 정도로 일을 계속할 계획이라면 종합소득세가 발생하더라도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이 있기 때문에 큰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이니 말입니다.
모든 연금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연금 포털 사이트!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이 소득 활동에 종사하면서 납부한 보험료를 공동 기금으로 조성해서, 국민이 노후를 맞이하거나 가입 기간 중 질병이나 사고로 장애를 입은 경우, 혹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는 경우에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힘든 시기에 일정 부분 소득을 보전해주는 국가보험제도입니다. 재정적으로 안정된 개인의 노후를 위해 국가가 만들어놓은 제도인 것이죠.
그러나 연금보험료는 올라가는 반면, 연금 예상 수령액은 계속 줄어들고 있어서 논라이 되고 있습니다. 노후에 실제 수령할 수 있는 연금액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www.nps.or.kr)나 국번 없이 1355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뿐 아니라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도 조회하고 싶다면, 통합연금 포털 사이트(100lifeplan.fss.or.kr)를 이용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를 다음 글이 궁금하시다면 '구독'을 눌러주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보험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액보험의 진실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2) | 2019.08.26 |
---|---|
종신보험 vs 정기보험 어떤 보험이 가성비가 좋을까? (0) | 2019.08.15 |
보험 종류(손해보험,생명보험,종신보험,상해보험등)를 자세히 알아보자 (0) | 2019.08.14 |